KDI 경제교육 정보센터
https://eiec.kdi.re.kr/policy/domesticView.do?ac=0000194501&pg=&pp=&search_txt=&issus=&type=&depth1=
2025년 1분기 해운 조선업 동향 | 국내연구자료 | KDI 경제교육·정보센터
한국수출입은행은 2025년 1분기 해운 조선업 동향을 분석한 보고서를 발표하였다. 1. 산업환경 - (유가 및 연료가) 1분기 국제유가는 경기침체 우려와 석유 수요부진 등으로 하락하였으며, 연료유
eiec.kdi.re.kr
Ⅰ. 산업환경
- 국제유가 및 선박연료가: 1분기 국제유가는 경기침체 우려와 수요 부진으로 1월 잠시 상승 후 2∼3월에 8.8
9.9% 하락해 배럴당 평균 7073달러를 기록했으며, 선박 연료유(MGO 685 $/톤, 380cst 490.6 $/톤)와 LNG 벙커링(739.8 $/톤) 가격도 유사한 흐름을 보였음 - 후판 가격: 중국산 반덤핑 조사 여파로 중국산 후판 가격이 크게 상승(3월 기준 20 mm 톤당 84.4만원, +13.1%)했으며, 국내산도 소폭 올라 톤당 90.8만원을 기록함
Ⅱ. 해운업 동향
- 벌크선: 철강 수요 부진·탄소 규제 우려로 1분기 평균 BDI가 1,118로 전년 동기 대비 38.7% 하락하고, 정기용선료도 전분기 대비 소폭 낮아짐
- 탱커 및 제품선: VLCC 용선료는 하루 39,519 $(-6.5%), MR 탱커 운임은 주요 항로에서 41.9~48.0% 하락하며 전반적 약세 지속
- 컨테이너선: 대량 신조 인도에도 불구하고 CCFI가 분기 중 26.6% 하락한 1,350을 기록, 미국 관세 정책에 따른 수요 위축 우려가 제기됨
- LNG·LPG선: 선복량 과잉으로 LNG선 운임·용선료가 54.7% 이상 급락했으며, LPG선도 42.2% 하락했으나 여전히 비교적 양호한 수준 유지
Ⅲ. 세계 신조선 시장 동향
- 발주량·건조량: 1분기 세계 발주량은 779만 CGT로 전년 동기 대비 55.2% 감소, 발주액 41.1%↓(262.6억 $), 건조량은 963만 CGT로 2.2%↓
- 신조선가 지수: Clarkson 지수는 1분기 중 0.9% 하락한 187.43을 기록, 벌크·탱커도 각각 1.0%·3.7% 하락
- 수주점유율: 중국이 48.8%로 여전히 우위이나 미국의 대중 견제로 한국이 26.8%로 회복, 일본은 2.5%에 그침
Ⅳ. 한국 조선업 동향
- 수주·수주액: 1분기 한국 조선업 수주량은 209만 CGT로 전년 동기 대비 55.0% 감소, 수주액은 75.0억 $(-46.3%)
- 건조·수주잔량: 건조량은 299만 CGT로 7.3% 증가했으나, 수주잔량은 3,622만 CGT로 전분기 대비 4.5% 감소해 약 3.3년치 일감 수준
Ⅴ. 시사점
- 선복량 과잉: 대량 신조 인도와 노후선 폐선 지연으로 해운 선복량 과잉이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으며, IMO 규제 강화에도 노후선 폐기가 지체됨
- 탄소중립 대응: 신조선 수요 회복을 위해서는 경제성이 보장된 해상 탄소저감 연료 및 기술 제시가 필요하며, 그렇지 못할 경우 조선·해운 시황 개선 지연 우려
- 대중 제재 완화 영향: USTR 대중국 제재안이 수정·완화되면서 국내 조선사가 누린 반사이익은 제한적이며, 점유율 회복 규모는 크지 않을 전망
#해운조선업 #1분기동향 #국제유가 #연료유가 #후판가격 #벌크선 #BDI #탱커시장 #VLCC #컨테이너선 #CCFI #LNG선 #LNG해운 #LPG선 #신조선시장 #발주량 #건조량 #신조선가 #수주점유율 #중국조선 #한국조선 #미국관세정책 #무역전쟁 #경기둔화 #해상탄소중립 #노후선폐선 #선복량과잉 #운임하락 #용선료 #클락슨지수 #IMO규제 #해상연료 #MGO #VLSFO #380cst #LNG벙커링 #암모니아운반선 #수출입은행 #글로벌물류 #공급과잉 #수요부진 #통계분석 #패널회귀 #연구보고서 #정책시사점 #시장전망 #위험관리 #해운산업 #조선업계 #해양에너지 #금융리스크 #경제전망